[서울=연합뉴스] 김기자 기자 = 최근 한국 정부가 관광객 유치를 위한 무비자 입국 정책을 확대하면서, 침체된 내수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끊겼던 '큰손' 유커(遊客)의 복귀는 관광, 유통 등 관련 산업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지만, 동시에 방역 및 사회 인프라 부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는 최근 제주도 외에 일부 지역 및 특정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 허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해당정부가 자국민의 한국 단체여행을 허용한 지 수개월이 지났음에도 예상보다 회복세가 더딘 점을 고려한 조치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한국을 찾은 광객 수는 전년 대비 200% 이상 증가했지만,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한참 못 미치는 상황이다.
침체된 내수 경제, '유커 특수' 기대감 고조
관광객은 면세점, 백화점, 카지노 등 주요 소비처에서 막대한 구매력을 보여왔다. 특히 한국의 화장품, 의류, K-팝 관련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이들 산업은 '유커 특수'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 명동, 강남 등 주요 상권의 상인들은 무비자 입국 확대 소식에 기대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면세점 관계자는 "코로나 이전의 '싹쓸이 쇼핑'은 아니겠지만, 점진적인 소비 증가는 분명히 있을 것"이라며, "관광객 유치에 맞춘 마케팅 전략을 적극적으로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항공, 숙박, 요식업 등 관광 인프라 산업 전반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예상된다. 관련 업계는 인력 충원 및 서비스 개선을 통해 관광객 맞이에 분주한 모습이다.
방역 및 사회 인프라 부담, 신중론도 제기
반면, 무비자 입국 확대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가장 큰 걱정은 방역 관리다. 최근 해당국가 내에서 새로운 변이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무분별한 입국 확대가 국내 방역 시스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일부에서는 관광객 수용 능력을 넘어서는 과도한 유입이 대중교통 혼잡, 쓰레기 증가 등 사회 인프라에 부담을 주고, 저가 단체 관광으로 인한 '바가지요금' 논란 등 과거의 문제점이 재연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객 유치 확대와 함께 방역 관리 시스템을 철저히 유지하고, 관광 품질 제고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 활성화와 리스크 관리의 균형점 모색 무비자 입국 확대는 한국 경제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지만, 동시에 치밀한 준비와 관리가 필요한 양날의 검이다. 정부와 관련 업계는 경제 활성화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혜로운 균형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